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환급 신청 방법 안내

자동차 채권 환급금 신청




내가 돌려받을 수 있는 자동차 환급금은 얼마인지 조회해보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구입 후 5년(서울의 경우 7년)이 지나면 자동채 채권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조회 방법도 간단하니 1분만 시간을 내시어 내가 받을 수 있는 자동차 환급금을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자동차 환급과 관련해서 돌려받을 수 있는 환급금 중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 있습니다. 차량을 구입, 등록할 경우 지역개발채권이라는 것을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되는데, 5년이 지나면 매입한 채권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라고 합니다. 물론 초기 매입 금액에 이자까지 합산됩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1,600cc 이상 자동차를 구매하고 등록할 때 지역 개발 채권이라는 것을 의무적으로 매입하게 됩니다. 이렇게 구입한 채권은 지자체 도로 및 상하수도 등 각종 유지 보수에 활용되고 채권 구입 5년~7년이 지나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이 직접 신청해야만 환급이 가능하며, 환급 소멸 시효가 있기 때문에 늦지 않게 신청하시어 환급받는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공채 매입 비용 계산

자동차 구입 및 등록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자동차 공채 매입비는 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고 있는 요율(차량가액의 최대 20%)에 따라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2천만원 소형 자동차를 구매한 경우 차량가액의 9%가 적용되어 약 163만원의 지역 개발 채권을 매입하게 됩니다. 경기도의 경우는 차량가액의 6%가 적용되 109만원의 지역개발채권을 매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초기 차량 구입비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많은 분들이 매입과 동시에 다시 매도를 하면서 일정부분 할인을 받게 됩니다.


자동차 구입 매입 채권 할인

최근에는 차량 구입 및 등록시 구입한 매입 채권을 즉시 되팔면서 차량 구입비에서 일정 부분 할인을 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 공채 매입과 동시에 매도를 할 경우 할인 비용은 공채 매입비를 100% 할인받는것이 아닙니다. 채권 매입시 보유하지 않고 즉시 매도할 경우에는 채권 시장에서 할인율 약 20%가 적용됩니다. 물론 지자체별로 할인율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여기서 할인율은 긍정적인 의미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2천만원 차량의 경우 9% 공채 매입비 163만원의 채권을 매입하지만, 즉시 매도할 경우 이에 대해 20%, 약 33만원이 제외된 130만원에 매도가 됩니다. 살때는 163만원이지만, 즉시 매도할 경우 130만원에 매도가 되는것입니다. 경기도의 경우 109만원의 공채 매입비에 16%, 약 17만원이 제외된 비용만 할인받게 됩니다. 그만큼 손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자금 부담이 없다면 5년이 지난 후에 환급을 받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구입 채권을 즉시 되팔것인지 5년이 지난 후 환급금으로 돌려받을지는 선택 사항입니다. 차량가에 따라서 매입 채권 가격이 높아지고, 5년 동안 이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시에는 5년이 지난 후 이자와 함께 환급을 받으셔도 됩니다.


자동차 공채 채권 미환급금

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개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하지만 모르는 분들이 대부분이고 알고 있어도 미루다가 결국 환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작년 기준 환급 청구 없이 권리가 사라지는 채권은 연간 20억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약 2천만원 상당 자동차의 경우는 200만원 이상의 환급금 정도로 그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꼭 확인하시고 돌려받는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환급금 소멸 시효

자동차 채권 환급금 소멸 시효 기간은 채권 상환 개시일(채권 매입 후 5년 경과일)로부터 원금은 10년, 이자는 5년입니다.

즉, 채권 환급이 가능한 시기를 기점으로 원금은 10년, 이자는 5년 이내에 청구 신청을 해야 환급금을 돌려받을 수 있으며, 이 소멸 시효 기간이 지나면 지자체에 귀속되어 환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


자동차 환급금을 알아보신다면, 소멸 시효 전에 내 차량의 매입 채권 공채 환급금이 얼마인지 알아보시면 좋습니다.

자동차 채권 환급금 신청




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신한은행이나 농협어플 또는 각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서울과 인천은 신한은행, 대구 및 광주, 부산, 전북은 각 지역 은행, 나머지 지자체는 농협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신한 은행 어플에서는 공과금 메뉴의 공공기관 채권 항목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농협 어플의 경우 지역개발채권 메뉴를 통해 환급금 조회가 가능합니다. NH농협 홈페이지에서도 공과금 메뉴 안에 지역개발채권 환급 및 조회에 대한 메뉴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채권 환급금이 조회되지 않는 분들의 경우는 차량 구매 당시 채권을 즉시 매도하고 그만큼 공채할인을 받은 경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